Social Welfare

사회복지실천론 -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쟈밈 2021. 1. 11. 09:55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자선조직협회(자선 조직 단체가 연계된 것)의 활동 : COS(개인에 초점)

18세기 중엽 영국에서 산업혁명 → 도시빈민 발생. 도시빈민에 대한 구제 노력에서 비롯. 주로 민간의 노력에서 시작됨.(성직자와 부유한 자선가) 종교인과 자선가들에 의해 주도.(성직자가 운영 및 활동, 종교단체가 참여) 빈민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식 X 자선의 성향이 강함. 민간 조직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주로 음식이나 주거시설 등과 같은 물리적은 원조.(자립 방향에는 X)

구제 대상 : 실업자, 빈민, 환자, 신체·정신 장애인, 고아

1869년 런던, 1877년 버팔로에 자선조직협회(COS) 출현

COS의 직원들은 주로 자원봉사자들(주로 중산층의 부인들)이었으며, 이른바 '우애방문단'이라 불림. 빈곤가정에 방문하여 가정생활, 아동교육, 가계경제 등에 대한 조언을 해줌.

COS는 → case work

→ 조사 방법

→ 중산층(종교인, 신흥재벌)의 도덕성 강조

→ 진화론

→ 빈자를 구분(열등처우의 원칙) (빈곤자에게는 도움을 제공한 반면 근로능력이 있는 걸인, 알코올 중독자, 성매매 여성 등에게는 도움을 청하지 않음) 에 영향을 미침

우애방문단은 1900년대부터 점차 보수를 받는 정식 직원으로 변함.(우애방문단은 민간에서 하는 건데 빈곤한 사람은 많음. 우애방문단이 이 분야에서 가장 전문가니까 국가에서 채용) → 사회복지사의 태동 (정식 직원이 되었으니 신입 교육을 위한 자료가 필요! 자료=책. 직원 교육 프로그램이 생겼는데 프로그램이 인기가 많아서 교육기간이 점점 늘어남. 이 땐 그냥 수료증만 줬는데 이렇게 하기엔 전문 인력을 만들기 힘들다 생각하고 석사과정을 만듦)

-인보관 운동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지역사회 환경개선 및 개혁, 빈민의 자활지원활동. (환경에 초점) 교수, 대학생 중심

빈곤을 개인의 문제로 보지 않고 구조적 문제로 봄. 문제를 해결하려면 환경이 변해야 한다(구조적 해결이 필요하다)고 생각함.

주택 개선, 공중보건 향상, 사용자에 의한 노동착취 및 해결, 직업기술 훈련, 언어훈련 등을 전개함으로써 빈민이 자립할 수 있는 여건을 형성해줌.

1884년 영국 '토인비 홀(Toynbee Hall)',1889년 미국 '헐 하우스(Hull House)'

인보관 운동은 → Group work

→ 지역사회조직(COS) 사회조사방법 에 영향을 미침

-전문적 교육의 등장

볼티모어(Baltimore) 자선조직협회에서 근무하던 리치먼드(Mary Richmond)는 1897년에 열린 자선 및 교정학회에 참석하여 전문교육을 담당할 기관의 필요성을 역설함.

이었을 계기로 사회복지 전문 인력 훈련과정이 개설됨 6주→1년→2년 과정 프로그램으로 발전함.

리치먼드는 '개별 실천이란 무엇인가?(What Is Social Case Work?)'라는 책을 통해 케이스워크란 개인과 개인, 인간과 환경 간의 적절한 조화와 조절을 통해 인격의 발달 및 성장을 가져오게 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는데, PIE(Person In Environment 환경 속의 인간)은 이때의 리치먼드의 저술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음.

-사회복지 실천의 초점의 이동

프로이트의 정신역동 이론이 전파되면서 '개인 내부의 문제'에 대한 초점

-진단 주의와 기능주의의 갈등

진단 주의 : 진단을 중시, 정신분석 이론, 공급자 중심, 개인의 문제로 진단

기능주의 : 진단 주의의 비판으로 나타남, 주변 사회 여건과의 상호작용 과정으로 대변되는 사회 기능을 중시, 랭크(Rank) 이론이 바탕, 자기의지 강조, 클라이언트를 힘 있는 사람으로 봄.

랭크의 이론 : 개인의 의지를 강조(개인의 성장 가능성, 동기), 개인은 더 이상 과거의 노예가 아니며, 현재의 경험과 그 주변 여건에 의해 약화 또는 향상될 수 있는 존재.

-집단사회사업의 발달

집단사회사업은 집단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 경쟁보다는 협동 작업에 초점을 둠.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지역사회로 돌아온 참전 용사 대상의 정신의학적 집단사회사업 실시가 급격히 증가함.

-사회복지실천 초점의 재이동 및 실천 모델의 개발

1960년대로 들어서자, 사회복지사의 개입 방향은 다시 사회(환경) 쪽으로.(1929년부터 시작된 대공황을 겪으면서 '국가가 개입해야겠구나' 하고 환경으로 초점 변화)

1970년부터는 실천 모델들이 출현하기 시작. 1979년과 1980년에는 임상사회사업의 실체를 규정하는 작업이 미국 사회복지사협회(NASW)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공통적인 지식 기반, 실천방법, 실천 현장, 가치와 기술

 

 

한국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외원 단체의 활동과 그 영향

1) 외원 단체 협의회(KAVA)의 탄생

COS와 비슷한 기능, 1952년 3월 부산에서 7개 외원 단체로 출발, 1970년대 초반까지 활동(중반 이후 감소), 제2의 보건사회부(복지부)라는 별명.

2) KAVA 및 외원 단체들의 활동 내용

1956년 이후 기관 및 시설을 설립하여 직접 운영하거나 후원, 지원

3) 외원 단체의 영향

외원 단체들에 의해 서구식 사회복지시설 및 제도가 소개. 농어촌 지역사회 개발이나 지역사회조직 등 지역복지를 위한 활동의 개념도 도입(지역사회 주민들이 복지 발전시키도록). 미국식 전문 사회사업교육과 실천 모델.

외원 단체 활동이 우리나라의 사회사업 발전에 끼친 영향

(1) 한국의 사회사업이 종교(특히 기독교. 선교 목적 외원 단체)와 밀접한 관련 하에 전개되도록 함.

(2) 한국에서 전문 사회사업의 시작을 촉발함.

(3) 시설 중심의 사회사업이 발전하는 계기를 만듦

(4) 한국의 사회복지가 거시적인 사회정책보다는 미시적인 사회사업(실천. 미국에서 들어와서. 미국이 실천 중심) 위주로 발전하게 함.

(5) 한국인이 사회사업(사회복지)을 구호사업 또는 자선사업과 같은 것으로 인식하게 함.

(6) 외원에 크게 의존하던 한국의 민간 사회사업 부분이 외원 단체 철수 후 정부에 의존하게 됨.

1970년대 들어서면서 외원 단체들이 사업을 종결(우리나라의 경제사정이 급성장하여 외원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감소, 전후 응급구호적인 활동의 의미도 퇴색, 미국 경제사정의 악화로 외원 단체에 대한 지원이 감소되었기 때문) 하면서 우리나라를 떠나기 시작. 우리 정부에서 외원 단체 활동에 대한 관계법령을 정비하고, 국위를 손상하는 외원 구호 활동 종결을 요구하면서 외원 단체 활동에 대한 통제를 가하기 시작.

미국식의 전문 사회복지실천이 무비판적으로 수용되고 적용됨으로써 우리 사회에 맞는 토착적인 사회복지실천방법이 개발되지 못함.

4) 외원 단체 활동의 계승

(1) 기독교 아동 복지회

(2) 선명회(월드비전)

(3) 홀트아동복지회(입양사업)

(4) 한국지역사회복리회(세이브더칠드런)

(5) 태화복지 재단(선교기관의 지원으로 시작된 우리나라 최초의 사회복지관)

-제도적 발전

1947년 최초의 사회사업학과가 이화여대에 설치.

197년대부터 제도적 접근의 필요성과 사회사업이라는 용어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 이미지 극복 수단으로 사회복지학과로 바뀜

1983년 5월 '사회복지사업 법'이 개정되면서 '사회복지사' 자격제도로 변경.

 

 

한국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과제 및 방향

1. 사회복지기관들이 보다 전문화된 기관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2.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재정지원창구를 다양화함으로써 사회복지기관의 종류별, 지역별로 특성화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3. 사회복지기관 간 협력 체제 및 연결망(network)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4. 우리의 상황과 전통, 가족제도, 사회제도에 걸맞은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해야 할 것이다.

5. 해외지원 사업을 보다 체계적·조직적·전문적으로 책임 있게 수행할 수 있는 철저한 사전 준비와 절차에 대한 대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6. 사회복지실천 영역이 전문화되고 우리 고유의 토착적인 사회복지실천 방법이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전문가 집단에 걸맞을 사회복지사의 위상 강화와 처우개선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