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개론 - 사회복지사의 현실과 정체성
사회복지사에 대한 인식과 현실
1. 사회복지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우리 사회에서 사회복지사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이고 호감이 감에도 불구하고 그 이미지가 상당히 막연한 데 머무르고 있으며, 전문적이기보다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일'로 인식되고 있음
2. 사회복지사의 현실
-남을 돕는 희생과 봉사, 착한 직업인이라는 대중적 이미지 뒤에는 바로 어둡고 열악한 사회복지사들의 현실이 자리 잡고 있음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정체성
1. 사회복지사는 어디서 어떤 일을 하는가
-사회복지사가 활동하는 영역은 공공 영역과 민간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공공사회복지 영역의 경우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시·도, 시·군·구 및 읍·면·동 등 또는 복지사무 전담기구에서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진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이 근무
-민간 사회복지 영역에는 각종 사회복지 기관 및 시설이 포함되는데 지역사회복지관 노인, 장애인, 아동, 한 부모가족, 여성, 노숙인 시설 등이 있음
2. 사회복지사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1) 전체로서의 인간의 삶에 대한 관여
-문제나 증상이 아닌 인간에게 초점
2) 윤리전문직
-부정의에 대한 비판과 약자 옹호, 변화 지향성
3) 임파워먼트 전문직
-강점에 대한 신뢰와 잠재성 발현 원조
4) 조정·협력의 구심점
-타 전문직, 준 전문직과 자원봉사자의 협력과 조정
사회복지전문직
1. 사회복지사는 어떻게 태어나는가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통로는 4년제 대학, 2년제 대학, 대학원, 특수대학원, 평생교육원, 학점은행제, 사이버대학, 복수 전공제 등 다양함.
2. 사회복지사는 전문직인가
-전문직 요소에 대한 고전적인 논의는 전문직 속성론(trait model)에서 찾아볼 수 있음. 이것은 특정 직업이 전문직인가의 여부는 그 직업이 다른 직업과 구분되는 일정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
속성 : 전문직이 수행하는 기술의 바탕이 되는 체계적 이론, 서비스 공급에 있어서 전문적 권위, 인력에 대한 독점적 권한과 특권, 전문직 자체의 윤리강령, 전문직 고유의 문화의 존재 등
사회복지직의 수요와 전망
채용 감소와 고용 여건 약화 |
-전담 공무원 채용 증가 + 고용 불안정성 심화 |
사회복지사 영역의 확장 |
-학교사회복지사제도 실시 전망 |
새로운 사회 복지 영역의 개발 |
-다문화 사회복지 |